본문 바로가기

♡♬ 휴계실 ♬♡/정보마당

산업일보뉴스 앞으로는 ‘꿈의 소재’로 불리는 타이타늄 원천소재와 항공기·임플란트 등의 첨단부품을 국내 기술로 만든다.

 

[산업엔진 프로젝트] 첨단 소재부품 국산화 전력 투구

원천소재, 항공?의료 첨단부품 개발 향후 7년간 총 818억원 투입

 

 타이타늄은 강도․내식성 등이 우수해 국방․항공, 의료, 해양플랜트, 안료 등 다방면에 활용, 원료→제련→잉곳→판재 등 공정단계별 부가가치 증가율이 철강의 42배, 알루미늄의 11배에 달하는 고부가가치 소재다.

 

 

 
앞으로는 ‘꿈의 소재’로 불리는 타이타늄 원천소재와 항공기·임플란트 등의 첨단부품을 국내 기술로 만든다.

 

 

 

 
타이타늄 소재․부품 개발에 성공할 경우, 한국형차세대전투기사업(KFX사업)에 국내에서 제작힌 부품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20일 르네상스서울호텔에서 소재․수요산업 대기업, 중소 뿌리기업, 학계·연구계가 참석한 가운데 ‘타이타늄 산업발전협의회’를 발족시켰다.

 

타이타늄 원천소재와 항공․의료 부품 개발, 조기 시장창출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타이타늄 산업육성전략’과 ‘타이타늄 징검다리 프로젝트 추진계획’를 발표했다.

 

타이타늄은 과거 냉전시대에 군사·우주 목적으로 미국, 소련 등 군사강국 주도로 개발된 이래, 강도․내식성 등이 우수해 현재는 국방, 항공, 의료, 플랜트 등 산업 전반에 널리 쓰이는 기반소재다.

 

타이타늄은 부가가치 증가율이 타 소재에 비해 월등히 높고, 수요산업의 세계시장이 2012년 250조 원에서 2025년 600조 원으로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관련기술이 없어 매년 1조 원가량을 해외에서 전량 수입하고 있으며, 특히 타이타늄 기술을 보유한 미국․일본 등에 대해 가격협상력이 매우 불리했다.

 

정부는 항공, 플랜트, 의료 등 주력산업과 첨단산업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타이타늄 산업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고 보고, 지난 2013년말 산업엔진 프로젝트 중 하나로 타이타늄을 선정하고, 산업육성 방안 마련과 관련예산 확보 등을 추진했다.

 

‘타이타늄 산업육성전략’에 따르면 정부는 2021년까지 타이타늄 원천소재 개발과 항공․의료 부품 국산화를 통해 미․러․중․일에 이어 세계 5대 타이타늄 산업강국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특히, 고순도광에 비해 매장량이 20배, 가격은 1/4인 저순도광으로부터 원천소재를 제조하는 새로운 공정 개발을 통해 원천소재 제조비용을 외국에 비해 50% 이상 절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앞으로 7년간 총 818억 원(정부 603, 민간 215)을 투입할 계획이며, 올해는 정부 예산 95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산·학·연·관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시장창출이 쉬운 분야부터 우선적으로 수요를 창출해 나가기로 했다.

 

먼저, 충분한 국내 수요를 바탕으로 해수담수화설비 열교환기 부품(2017년~, 2,400억 원)와 발전소 증기터빈 블레이드(2019년~, 520억 원), 고부가가치 의료용 임플란트 합금(2019년~, 250억 원)을 국산화하는 ‘징검다리 프로젝트’를 통해 연 3,170억 원의 시장을 조기에 창출하기로 했다.

 

중장기적으로는 관계부처 간 공동 기술개발, 실증사업을 활용한 운용실적(Track Record) 확보 등을 통해 고부가가치 국방․항공 시장에 진출하기로 했다.

 

소재산업은 개발에서 상용화까지는 불확실성이 큰 만큼, 정부는 산·학·연·관으로 구성된 ‘타이타늄 산업발전협의회’를 구성․운영해 동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로 했다.

 

협의회에는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부처, 포스코․두산중공업 등 소재·수요산업 대기업, 중소 뿌리기업 등이 참여, 공동 기술개발, 시장창출, 제도개선 사항을 발굴하기로 했다.

 

박청원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은 “우리나라는 그간 철강․화학 등의 소재산업을 성공적으로 육성한 경험과 파이넥스(Finex)․폴리실리콘 등 유사한 기술도 성공적으로 개발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라고 우리 기술의 우수성을 강조했다.

 

또한 “글로벌 수요 둔화와 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철강산업의 어려운 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 제품의 고부가가치화와 함께 타이타늄 등 신소재 개발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보영 기자 papersong@kidd.co.kr
Copyright ⓒ 산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산업일보 로고를 클릭 하시면 더 많은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