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휴계실 ♬♡/정보마당

산업일보뉴스 경북혁신센터는 기업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2020년까지 스마트팩토리 500개를 보급할 계획이다.

[SMART FACTORY] 스마트팩토리, 아직 갈 길이 멀다

인력ㆍ자금 부담 등 장애요소 극복하고 표준화에 나서야

 

 [산업일보 김진성 기자]

 

 최근 경상북도가 ‘스마트팩토리 도입’으로 관내 공단의 공장들을 스마트화하고 제조업 혁신 허브로 키운다는 계획을 발표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제조업 혁신 3.0’의 불씨가 지펴질지에 대해 관계자들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는 제조업 혁신의 구심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미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은 스마트 공장을 통해 제조업 부활, 일자리·소득 창출의 기회로 삼고 있다.


경북혁신센터는 기업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2020년까지 스마트팩토리 500개를 보급할 계획이다.


현재 경북(구미)의 경우 산단 입주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의 미흡, 시설 노후화 등으로 글로벌 경쟁력이 저하되고 있는 상태에서 스마트팩토리 도입이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로 연결돼 제조업 부활의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IoTㆍ빅데이터ㆍ클라우딩 등 첨단 기술의 집합체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팩토리가 산업현장에서 이상 없이 구동되기 위해서 가장 필수적인 기술이 바로 ‘사물인터넷(IoT)'이다.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기기 간의 정보 교환,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황 분석과 생산 시뮬레이션을 가동하는 생산체계를 통해 완전한 자동 생산 및 지능형 생산시스템 구축이 가능함으로써 제조업에서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실제로 GE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생산라인을 즉각적으로 모니터링해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발견함으로써 불량률을 감소시킨 바 있는데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주요 산업에서 효율성을 1%만 끌어올려도 향후 15년간 2,700억 달러의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예상치를 내놓고 있다.


특히, 공장 내부의 설비, 반제품, 작업자는 물론, 공장 외부의 고객, 조달, 유통, 재고 부문과의 네트워크가 강화되면서 제조생태계 차원에서의 공정 최적화가 달성되며,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초연결 제조 생태계가 구현되고, 지능화된 생산설비는 생산관리시스템(MES),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ERP) 등 다양한 정보시스템과의 연동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중앙 정보처리 장치의 일방적 명령이 아닌 작업장 내 모든 설비가 상호 간, 또는 중앙 정보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공장별 생산관리 시스템과 연동되는 과정을 거쳐 최적화된 조업 솔루션을 도출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공장 내 최적화 솔루션은 실시간으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과 연동돼 기업 전체의 경영ㆍ재무ㆍ재고ㆍ유통ㆍ인사전략 수립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빅 데이터의 경우 스마트팩토리에서 제조설비 및 부품, 제품의 센서와 RFID를 통해 수집되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이 생산되는 전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함으로써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빅데이터 기술을 통한 고객정보 수집, 분석 및 활용은 고객관계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와 맞춤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조업의 서비스화를 실현하는 데 있어 큰 촉진과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제조업의 미래 산업인 웨어러블 기기, 사물인터넷, 무인자동차 등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제조업의 첨단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클라우딩 컴퓨터 기술 역시 스마트팩토리 구성에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ICT 기술의 네트워크화, 지능화 등의 특성은 자동차, 조선, 기계, 에너지, 섬유 등 다양한 산업과 융합을 통해 기존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 산업을 창출하는 데 일익을 담당할 것이다.


이미 일본의 도요타자동차는 전기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애저 서비스를 장착함으로써 배터리 및 홈 네트워크 전격제어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충남테크노파크는 중소 자동차 부품기업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정보시스템 서비스를 구현해 서비스 수혜기업은 ERP, MES, 3D Simulation 중 필요한 솔루션만 적용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 아직 갈 길이 멀다 관련기사 더보기  >> http://www.kidd.co.kr/news/178260

 

김진성 기자 weekendk@kidd.co.kr